빠른년생은 어떻게 띠를 구분할까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빠른년생은 어떻게 띠를 구분할까

빠른년생은 어떻게 띠를 구분할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빠른년생 띠를 구분하는 법이 있나요?


전년도 띠를 따라가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빠른생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띠를 잘못알고 있는 이유는?


띠를 계산하는데 제대로 된 계산법을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제대로 된 띠를 구분하여 유식한 사람이 되어 봅시다.



빠른년생은 어떻게 띠를 구분할까


아직까지 사라지지 않은 빠른년생(빠른생일)문화가 있습니다. 2003년생이 만 6세가 되는 시점부터 빠른생일이 사라지고 1월 1일을 기준으로 학교에 입학하게 되어 이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은 빠른생일이 존재하지 않지만 완벽하게 빠른생일이 없어지려면 30~40년 이상 지나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반세기는 지나야 완벽하게 빠른 생일이 사라지지 않을까 생긱이 듭니다.


빠른생일은 왜 사라져야 할까요? 이른바 친구와 형의 경계선을 무너뜨리기 때문입니다. 20대때만 하더라도 1살만 나이가 많아도 형이라 부르게 되는데 빠른생일을 가지고 있으며 불리할때는 본인의 년도로 붙어싿가 유리할때는 전년도와 같이 생활했다는 것을 들먹이며 일명 박쥐같은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죠.


하여튼 이게 중요한게 아니라 띠를 구분하는데 있어 조금 잘못 알고 있는 것들이 있어 바로잡아보려고 합니다. 띠를 구분하는 방식은 대부분 년도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상당히 잘못되었으며 1년을 24절기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식이 정확한 띠를 구분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띠 구분의 기준 '입춘'


혹시 입춘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봄이 찾아왔다는 뜻의 입춘은 양력으로 2월4일 또는 2월5일인데 2019년 입춘은 2월 4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입춘을 기준으로 띠를 계산하게 되는데 입춘 앞에 태어났다면 같은년도라 하더라도 전년도의 띠를 따르게 되는 것이며 그렇지 않고 입춘 후에 태어난 2월생이라면 해당년도의 띠를 따르게 되는 것이죠.



입춘을 기준으로 한 생년월일 계산에서의 띠를 구분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1990년 1월 30일생 - 뱀띠

▶ 1990년 2월 20일생 - 말띠


이런식으로 빠른년생이라 하더라도 띠 구분이 입춘의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당 이야기를 토대로 본인이 빠른생일인 경우 계산을 다시 해보는 것은 어떠신가요?



빠른년생은 어떻게 띠를 구분할까 간단하게 이야기해보았습니다. 크게 어렵지 않은 내용이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잘못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바로잡아주시면 조금은 지식이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