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띠별 나이 조견표 및 계산법
본문 바로가기

뻘팁

2022년 띠별 나이 조견표 및 계산법

2022년 띠별 나이 조견표 및 계산법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띠를 확인하는데 계산이 필요한가요?

계산이 필요할 수 있지만 표만 봐도 되지 않을까요?

▶ 2022년은 무슨 띠인가요?

2022년은 호랑이 띠 입니다.

 

 

년도와 띠를 무조건 맞추는 실수를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2년 띠별 나이 조견표 및 계산법


대한민국에서의 나이란 윗사람/아랫사람을 논할때 중요한 요소이며 현재는 빠른 생일을 가진 사람들이 남아있어 간혹 족보브레이커(?)의 역할을 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습니다. 거기다가 빠른 생일이 아님에도 남들보다 1년 빠르게 조기입학을 하는 사람들도 간혹 있어 생각같아서는 이러한 제도를 다 없애버리고 싶은 심정인데 오히려 입학나이를 만5세로 한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으니 참 할말이 없습니다.

태어난 해를 띠로 구분하는 것은 왜 하는걸까요? 아무래도 운세를 점치거나 사주팔자와 영향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만 2022년에 띠를 이용하여 뭘 할 수 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조견표만 있으면 따로 계산을 할 필요가 없기에 표를 토대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띠별 나이 및 조견표


2022년을 기준으로 띠별 나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현재 표에서는 나이를 기준으로 1살부터 100살까지의 띠를 구분해 놓았지만 2023년부터는 한국식 나이가 아닌 만나이로 통일이 된 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표에 적힌 나이에서 1살이 빠지게 됩니다.

두번째 문제는 띠는 년도가 기준이 아닌 24절기 중 입춘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입춘의 기준은 2월 4일로 알려져 있는데 만약 2020년 2월 1일 태어났다고 가정한다면 이 사람의 띠는 쥐띠가 아닌 돼지띠가 되는 것입니다. 술자리나 대화할 자리에서 간혹 띠를 물어보는 질문이 나오곤 하는데 대부분 태어난 년도(해)로 생각을 하다보니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2년 띠별 나이 조견표 및 계산법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표만 저장해놓았다가 필요할때 꺼내보면 굳이 계산까지는 가지 않아도 되겠죠?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