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낼때 절횟수 몇번 해야 할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 제사할때 몇번의 절을 하나요?
두번의 절을 합니다.
▶ 절을 두번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음양사상적으로 구분하여 절을 두번합니다.
이 내용은 여러가지 정보를 종합하여 제작한 생활정보 글입니다.
제사 지낼때 절횟수 몇번 해야 할까
대한민국은 종교의 자유가 있는 국가이며 종교가 있는 사람은 46%, 없는 사람은 54%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2015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나온 결과로서 시간이 적지 않게 흘렀기 때문에 퍼센트는 변경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과반수 이상이 종교가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교가 없는 사람들은 그럼 무엇을 믿을까요? 말 그대로 신을 섬기지 않을 수는 있지만 이 사람들 중 다수는 제사를 지낸다는 것입니다. 제사를 지낼때는 1년에 적게는 설/추석 두번,많게는 4~5번 이상 지내는 집도 있던데 저희 집은 그나마 4번에서 3번으로 줄어든 상태입니다. 흔히 제사를 지내는 메인(어머니/아버지 등)이 쓰러지면 제사를 이어받을 사람이 없어서 제사가 사라진다고 하잖아요? 부모님 고생하는걸 보고 싶지 않기도 해서 제사가 없어졌으면 하는 바램이 조금은 있지만 쉽지 않겠죠?
제사 지낼때는 절을 몇번 하나요?
우리는 아무때나 절을 하지 않는데 절을 하는 상황을 생각해봐야 하는데요 해당 상황이 언제인지에 따라 절을 하는 횟수가 달라집니다. 크게 산사람에게 절을 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횟수가 달라지는데 산사람에게는 한번,죽은 사람에게는 두번 절을 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기에 차례/제사와 같은 상황에서는 두번의 절을 하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음과 양에 대한 음양사상에 기반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양의 기운을 1이라 하며 음의 기운을 2라 합니다. 여기서 양의 기운이라 하면 산 사람을 뜻하며 음의 기운은 죽은 사람을 뜻하는데 다른 의미로는 짝이 맞지 않는 홀수는 양이라 하고 짝이 맞는 짝수는 음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조문을 할때도 고인에게는 두번의 절을 하지만 상주에게는 한번의 절을 하는 것도 해당 이유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번의 절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절을 끝마친 다음 반절을 해야 하는데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허리를 간단하게 45도정도로 숙이는 것을 반절이라고 합니다. 이 역시 산 사람에게는 반절을 하지 않지만 죽은 사람에게는 반절이 반드시 붙게 됩니다.
제사 지낼때 절횟수 몇번 해야 할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크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한번쯤 되새겨보자는 의미에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뻘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생년도 띠 계산 빠른년생은 입춘 기준으로 (0) | 2021.04.05 |
---|---|
TV수신료(티비수신료) 한전 전기요금에 포함된 이유 환불 및 안내는법 (0) | 2021.03.10 |
제사 지낼 때 상 앞에서 술잔 돌리는 방향 및 이유 (0) | 2021.03.04 |
피해자 신분으로 법원(검찰 경찰)사건번호 조회 하는 방법 (0) | 2021.02.22 |
간단하고 쉬운 계산기 퍼센트 계산법 (0) | 202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