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제약 유통기한 유효기간 얼마나 될까요
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의학

조제약 유통기한 유효기간 얼마나 될까요

조제약 유통기한 유효기간 얼마나 될까 알아보겠습니다.



▶ 조제약 유효기간이 존재하나요?


조제된 날짜를 기준으로 일정기간의 유효기간이 존재합니다.


▶ 유통기한 지난 약 복용해도 괜찮을까요?


너무 오래 지나지만 않았다면 약을 복용하는데 있어 큰 문제는 없습니다.



적당한 유통기한만 지킨다면 약을 복용하는데 있어 아무일도 생기지 않는 것은 당연하겠죠?



조제약 유통기한 유효기간 얼마나 될까요


대만민국은 의료혜택이 참 잘되어 있는 나라라고 생각하는데요 상대적으로 강국인 미국만 보더라도 병원 한번 가는데 수백만원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벌지 못하는 일반 서민층은 병원을 가지 못하거나 큰 병이 있더라도 그냥 대충 버티곤 합니다. 


약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는데 병원진료가 비싼만큼 약값 역시 많이 들어 마트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일반적인 약들밖에 멋지 못하는 나라가 바로 미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에 비해 정 반대인데 의료보험이라는 제도를 이용하여 많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약값의 걱정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물론 수술과 같은 큰 의료시설이 필요한 곳은 제외지만 말이죠. 



만65세를 넘어서게 되면 의료혜택은 극대화되어 한번 진료받는데 약 2000원도 안되는 금액이 들어가게 되며 약값 역시 상당한 할인을 받아 조제약을 지을 수 있게 됩니다. 간혹 부모님이 병원을 방문하는 날에는 약을 최대치로 지어오시곤 하는데요 그로인해 약을 종류별로 어느정도 집에 보관하고 있는 편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병원약 유통기한은 과연 얼마나 될지 생각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여지껏 아무 생각 없이 먹어왔던 조제약이 유통기한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난 후 부터는 조제약에 날짜를 적어놓아 너무 오래도록 보관하지 않으려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조제약 유통기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알약 : 2 ~ 3년

- 안약 : 개봉전 2 ~ 3년, 개봉 후 1개월

- 연고 : 개봉전 2 ~ 3년, 개봉 후 6개월


이것은 단순히 포장되어 나온 약의 유통기한이며 개봉전에는 유통기한이 비교적 길게 잡히지만 개봉 후에는 공기중에 노출되어 오염이 될 수 있다보니 유통기한은 급속도로 줄어들게 됩니다. 약국에서 지어주는 조제약 유통기한은 이보다 훨씬 짧은 두달정도라고 하며 조제약 중 알약이 아닌 가루약의 경우 이보다 짧은 한달 이내에는 모두 소진해야 합니다.



약에 유통기한이 존재하는 이유는 약의 효과가 90%가 유지되는 시간을 유통기한으로 정해놓고 해당 유통기한이 지나면 약의 효과를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가 약에 유통기한이 존재하는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조제약 유통기한 유효기간 얼마나 될지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너무 오랜시간 약을 방치하는 것도 좋지 않아 보입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