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전공의 레지던트와 의사와의 차이
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의학

전문의 전공의 레지던트와 의사와의 차이

전문의 전공의 레지던트와 의사와의 차이라는 주제로 간단하게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 전공의와 전문의는 어디서 사용하는 말인가요?


병원 이외에 사용하는 곳이 있을까요?


▶ 둘 중 어느것이 더 높은건가요?


당연히 전문의가 더 높은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참고하시어 각각의 차이를 구분해보시기 바랍니다.



전문의 전공의 레지던트와 의사와의 차이


병원을 다니면서 간혹 벽을 보면 해당 병원장의 이력이 나오는데 그 중에 무슨무슨 전공을 했다는 것을 본 적이 있으실겁니다. 작은 병원이라면 분명 한번은 보셨을지 모르지만 대형병원이라면 직접 상담실로 들어가지 않는 이상 이런걸 보기가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병원이 아닌 곳에서 해당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는지는 개인적으로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이외의 장소에서 해당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본적이 없습니다. 의학드라마에서도 간혹 니오는 해당 용어는 전공의의 상위호환이 전문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일반인들은 아마 전공의라는 용어도 거의 들어본 적이 없을지도 모르겠네요.


의대를 기준으로 나누는 전공의 전문의 외에도 인턴이라는 개념도 존재하는데 셋의 순서를 짚어보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 인턴


의사의 순서를 따져보자면 전공의 앞에도 인턴이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요 인턴이 되기 위해서는 약 6년의 기간이 소요되는데 대학교 의예과에서 2년간 공부를 한 뒤 본과에서 4년을 더 공부하여 국가고시를 합격하고 의사면허를 취득하면 비로소 인턴이라는 자격이 생겨 1년간 인턴생활을 진행하게 됩니다. 인턴을 다른 용어로 수련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전공의


1년간 인턴기간을 거친 후 시험을 또 치룬 뒤 합격을 하여 원하는 전공을 선택합니다. 이때부터가 전공의라고 부르는데 흔히 의학드라마에서 말하는 레지던트가 전공의에 속하게 됩니다. 약 4년간 레지던트 신분으로 근무를 하게 되며 근무 경력이 1년이상 되는 경우 병원에 따라 환자를 직접 케어할 수 있게 됩니다.



- 전문의


4년간의 레지던트 경력을 이용하여 전문의 시험을 보고 합격을 하게 되면 그제서야 정식으로 의사가 되는데 전문의를 부르는 다른 말로 스페셜리스트라고도 합니다. 병원을 개원하기 위해서 이 시기에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전임의


전문의 상위 개념인데 그 이상은 의학드라마에서 잘 부르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모릅니다. 전문의 취득 후 대학병원에 남아서 더 근무를 하게 되면 조교수 및 부교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교수의 자리까지 올라갈 수 있는데 이를 다른 말로 펠로우라고도 부릅니다.



전문의 전공의 레지던트와 의사와의 차이라는 주제로 간단하게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만약 틀린점이 있다면 댓글로 적어주시면 보는분들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