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고려시대 왕 순서 1대부터 34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 옛날 고려시대는 왕이 몇명 있었나요?
총 34명의 왕이 있었습니다.
▶ 가장 높은 재위기간을 가진 왕은 누구인가요?
문종으로서 37년의 재위기간을 가졌습니다.
사학과가 아닌 이상 이걸 다 외우는게 쉽지는 않겠죠?
옛날 고려시대 왕 순서 1대부터 34대까지
여러분들은 '태정태세문단세'를 들어본 적이 있을거라 생각하는데요 이것은 조선시대 왕이라고 해서 여기서 말하는 고려시대 왕과는 조금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왕이 다르니 이름도 약간씩 차이가 발생하겠죠? 아마 조선시대 왕을 어느정도 안느 분들은 있어도 고려시대 왕을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텐데요 기껏해야 태조 왕건정도나 알고 있겠죠.
저 역시도 고려시대 1대 왕인 태조왕건 외에는 아는 왕이 없습니다. 물론 이것은 역사적으로 알고 있는게 아니라 드라마를 통해 알고 있는건데요 이렇듯 국사에서 고려보다는 조선을 더 많이 다루었고 드라마 역시 고려보다 조선을 기준으로 많이 제작되었기 대문에 그러한 영향을 직간접적으로나마 받은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고려시대 왕은 총 34대가 존재하는데 서기로는 918년부터 시작하여 1392년까지 474년을 거쳐왔습니다. 그리고는 멸망하여 조선으로 국호를 변경하게 되는데 여기에 해당하는 34대 고려시대 왕 순서를 표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 고려시대 왕 순서
고려시대 왕의 순서는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01 ~ 10 태조 - 혜종 - 정종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정종
11 ~ 20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숙종 -예종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21 ~ 30 회종 - 강종 - 고종 - 원종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31 ~ 34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조선시대 왕과 이름이 많이들 비슷한데 이건 규칙이 조금 있어 외우기가 조선 왕보다는 쉬울 것 같습니다. 특이한건 태조왕건을 빼고는 모두 뒤가 종으로 끝나는데 물론 충렬왕부터는 종이 아닌 왕자를 사용하긴 하지만요. 이렇게 되면 오히려 외우기가 더 쉬워질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옛날 고려시대 왕 순서 1대부터 34대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어느정도 규칙성으로 인해 외울 마음만 있다면 외우는데 크게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저리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눈에 보는 경찰 체력 기준 표 (0) | 2019.07.10 |
---|---|
참고하면 좋을 ufc 체급표 보고가세요 (0) | 2019.07.09 |
밀폐된 공간(밀실)에서 선풍기를 밤새 오래틀면 죽는다(죽음)는 설 (0) | 2019.06.21 |
2020년 개정되는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 내용 변경 (0) | 2019.06.20 |
대한민국과 다른 미국 대통령 선거방식 그리고 임기기간 (0) |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