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씨 쓰거나 발음시 사이시옷 넣는 조건 및 규정 언제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사이시옷이 무엇인가요?
두 단어가 합쳐져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을 사이시옷이라 부릅니다.
▶ 사이시옷은 무조건 넣어야 하나요?
예외가 상당히 많으며 무조건 넣지는 않습니다.
사이시옷은 아무때나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글씨 쓰거나 발음시 사이시옷 넣는 조건 및 규정 언제
우리가 어떠한 단어에 대해서 발음을 할때 표기법과 다르게 발음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사이시옷인데 논란이 많은 표기법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호불호도 많이 갈리고 반대하는 사람들 비판하는사람들 등 몇가지로 나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적어야 하는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고 하여 그것이 표준어가 아니다라고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이시옷은 한글 맞춤법 제30항에 그 규정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두 명사가 결합되어 하나의 명사를 만들 때 두 명사 사이에서 생기는 발음의 변화를 표기에 반영하려는 의도로 규정되었지만 이것이 100% 적용되지 않다보니 호불호가 갈리고 폐지론자들까지 있다고 하는군요.
사이시옷에 해당되는 조건을 몇가지 나열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말 합성어 또는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뒤 단어의 첫소리 ㄱ,ㄷ,ㅂ,ㅅ,ㅈ이 된소리로 나는 것
시냇가,부싯돌,바닷가 등
- ㄷ이 뒤의 ㄴ,ㅁ에 동화되어 ㄴ으로 발음되는 것
아랫니,잇몸,빗물,바닷물,제삿날 등
- 뒤 단어의 첫소리로 ㄴ이 들어가며 ㄷ이 동화되어 ㄴㄴ으로 발음되는 것
나뭇잎,뒷일,깻잎 등
문제는 사이시옷에 예외가 있다는 점인데요 우리말+한자어는 해당되지만 한자어+한자어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규칙이 존재합니다. 그렇다고 사이시옷이 한자어에서 적용이 아예 안되는 것도 아니고 되는 예도 있는데 툇간,곳간,숫자 등이 한자어와 한자어로 표기된 사이시옷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글씨 쓰거나 발음시 사이시옷 넣는 조건 및 규정 언제인지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그만큼 쓸데없이 어렵고 외래어도 쓰면 안되는데다가 예외가 너무도 많아 이 모든 사이시옷을 규정할 수 있는 어문규정이 현재 존재하지 않아 현재까지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언어 및 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관객수 단위의 새로운 패러다임 ubd(엄복동) (0) | 2019.04.26 |
---|---|
온라인 게임에서 방플 뜻(의미) 알아보자 (0) | 2019.04.24 |
한본어 사이트와 번역기의 조합 대단한데 (0) | 2019.01.07 |
아이엠그루트 뜻 무엇일까 고소 가능여부 (0) | 2018.12.24 |
야채와 채소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0) | 2018.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