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및 피해 발생 전 대피시설 조회방법 알아보겠습니다.
▶ 대피시설은 어디서 조회할 수 있나요?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대피시설은 안전할까요?
100%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모르는거보다는 낫겠죠?
과연 위급상황이 발생했을때 대피를 잘 할 수 있을까요?
지진 및 피해 발생 전 대피시설 조회방법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삶이 참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가운데 저 역시 알게 모르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어 저도 마찬가지로 걱정입니다. 그런데 이웃나라 일본은 코로나 검사를 거부하고 있어 국제적으로 민폐국에 놓여있다죠?
일본은 코로나만 문제는 아닙니다. 수시로 발생하는 지진의 위협이 감지되고 있는데 이 글을 작성하는 기준으로 2020년 2월에도 진도7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습니다. 물론 일본과 좀 떨어진 해역이긴 하지만 이런게 우리한테 피해가 오지를 바라지는 말아야 하겠죠?
-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국인가?
대한민국은 일본보다는 지진에서 안전하다고 할 수 있지만 마냥 안전하다고만은 볼 수 없는데 특히 수도권보다는 남쪽에서 지진 징후가 잘 나타나는 편입니다. 그러다보니 일부 재산피해도 발생하고 있지만 그것은 몇년전 이야기일 뿐 올해만 들어서 지진 발생 빈도를 보면 대부분 규모 2 수준의 높지 않은 정도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냥 안심할 수는 없기에 건물을 지을때 1988년부터 이미 내진설계를 의무화하였습니다. 또한 내진설계와는 별도로 대피시설에는 지진이 와도 버틸 수 있게끔 강력하게 설계된 곳이 종종 있는데 이러한 위치는 대부분 아파트 혹은 건물 지하주차장과 같은 곳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를 쉽게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대피시설 조회하는 방법
대한민국에 있는 대피시설은 수백곳이 존재하는데 이를 모두 기억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그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데 조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동하기 ▶ 국민재난안전포털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상단 링크를 통해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홈페이지 접속 후 민방위 하위 메뉴 중 비상시설에서 대피시설을 확인합니다.
도로명 주소 혹은 행정동으로 검색한 뒤 결과를 찾으면 이런식으로 하단에 결과가 나오는데 아파트만 두개가 나오는군요?
다른 주소로 검색해봤더니 지하상가,전철역 등 다양한 지역이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지진 및 피해 발생 전 대피시설 조회방법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크게 어려운 내용은 아니기에 쉽게 검색이 가능하거라 생각하며 검색이 되지 않거나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근처의 지하시설로 대피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뻘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날(예전) 구 우편번호 6자리 검색 및 조회하는 방법 (0) | 2020.04.07 |
---|---|
ktx 예매 시간보다 역에 일찍 도착했다면 타임 세이빙 서비스로 가자 (0) | 2020.03.30 |
전자제품(폐가전제품) 무료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 서비스 이용해봐 (0) | 2020.03.17 |
2020년 주민등록증(민증)사진 규격 및 착용가능 렌즈 규정 (0) | 2020.03.03 |
야놀자 예약취소 및 환불 방법 수수료 및 당일취소 가능 여부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