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좋은 119 출동비용 발생 여부 확인해보겠습니다.
▶ 119가 출동하면 비용이 발생하나요?
119가 출동한다고 해서 비용이 발생되지는 않습니다.
▶ 원하는 장소로 119 구급차가 이동할 수 있나요?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하며 그 외 지역을 원할때는 사설 구급차를 이용해야 하지만 비용이 발생됩니다.
이 내용은 119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119 출동비용 발생 여부
여러분들은 119를 이용해본적이 있으신가요? 개인적으로 119를 눌러 뭔가 해본 기억이 살면서 단 한번도 없는데 진짜 말 그대로 위급한 상황이라면 한번쯤 불렀을법 하지만 현재까지는 다행스럽게도 위급한 상황이 온 적이 한번도 온 적이 없었기 때문에 불러본적이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119를 부를때는 정지되어 발신이 불가능하거나 유심칩이 없는 휴대폰을 이용해서도 통화가 가능한데 119를 제외한 112 역시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전화통화가 가능합니다. 이는 국민의 생명권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치를 하게 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119 출동비용은 얼마나?
공식적으로 119 출동에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보니 어처구니없는 일도 간혹 뉴스에 등장하기도 하는데 벌레를 잡아달라고 하거나 택시비가 없으니 집에 데려다 달라는 신고가 들어오는 일도 다반사입니다. 이러한 신고는 벌금을 강화하며 최근에는 많이 줄어든 추세입니다.
119 홈페이지에 올라온 한 제보인데요 이런것도 와주시는지 물어보던데 허위는 아니지만 참 애매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부 동물도 119가 구조해주긴 하던데 쥐는 유해동물이라 이걸 과연 구조해줬을지는 의문이 듭니다. 수년이 지난 글이기 때문에 결과는 알 수 없지만 아마도 구조를 해주지 않았겠죠?
- 원하는 지역으로 이동을 요구할 경우 비용이 발생하나요?
119 신고 후 구급차에 탑승하게 되면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이송을 진행하게 되며 이 경우 비용은 발생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급한 순간이 아니거나 장소를 이동하는 경우 사설(민간) 구급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10Km 이내 및 10Km 초과에 따른 추가요금이 있으며 구급차 용도가 일반인지 특수인지에 따라 요금 체계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심야시간 할증요금도 있기 때문에 비용이 생각하기에 따라 많이 발생할 여지도 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119 출동비용 발생 여부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발생하지 않지만 상황에 따라 발생 가능성은 있으며 허위신고의 경우 벌금까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뻘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 후진 가능 여부 핵심은 엔진에 (0) | 2020.06.16 |
---|---|
두부 얼리는법(얼리기) 그리고 얼린두부 해동 하는법 (0) | 2020.04.23 |
깐더덕 보관방법(보관법) 오래 두고 먹으려면 (0) | 2020.04.17 |
옛날(예전) 구 우편번호 6자리 검색 및 조회하는 방법 (0) | 2020.04.07 |
ktx 예매 시간보다 역에 일찍 도착했다면 타임 세이빙 서비스로 가자 (0)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