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격리 중(후) 쓰레기(음식물쓰레기) 봉투 폐기물 처리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자가격리를 할때 쓰레기는 어떻게 하나요?
집안에서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배출합니다.
▶ 음식물쓰레기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나요?
비슷하게 모았다가 배출하거나 소각하게 됩니다.
이 내용은 자가격리 후 최종 검사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가격리 중(후) 쓰레기(음식물쓰레기) 봉투 폐기물 처리 방법은
대한민국에서도 코로나19가 대유행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었으며 저 역시 처음에는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어 코로나 검사를 받았으나 음성에서 양성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찾아보니까 음성이었다가 양성으로 전환되는 사례가 꽤 있더라구요.
처음 코로나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온 뒤 자가격리를 위해 집안에만 있었는데 검사 결과 다음날 몇가지 물건이 도착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위생과 관련된 제품이 먼저 도착하고 다음날 음식이 도착했는데 저는 위생과 관련된 제품 중 쓰레기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 자가격리 중(후) 발생되는 쓰레기는 어떻게?
자가격리는 밀접접촉자와 접촉한 날을 기준으로 다음날을 +1일로 계산하며 최대 2주(14일)의 격리기간을 갖다보니 집에서 나올 수 없으며 그동안 쌓이는 쓰레기의 양도 만만치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시세끼 음식을 해먹어야 하다보니 이로인해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도 무시하지 못할 수준이기도 합니다.
음식물쓰레기가 생기면 일정 부분을 모아 비닐봉투에 담고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음식물쓰레기를 1회용 비밀봉지에 담아 보관하고 있습니다만 이것은 조금씩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가 어려워 냄새를 막기 위한 임시방편일 뿐 개인적인 방법입니다.
그리고 주방 한켠에 놔둔 전용 쓰레기봉투에 일반쓰레기를 넣은 뒤 대기중에 있는데 공식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의료 폐기용 쓰레기봉투(주황색)과 일반 쓰레기봉투(파란색)을 겹쳐 두겹을 만든 뒤 안쪽에 소독제를 뿌려줍니다.
2. 음식물쓰레기가 있다면 이것도 쓰레기봉투에 넣어 소독제를 뿌린 뒤 봉투의 70%가 넘지 않도록 묶어서 보관합니다.
3. 자가격리 해제 전 회수를 요청할때는 의료용 폐기물봉투에 넣은 쓰레기를 한번 더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보건소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수거요청을 합니다.
4. 자가격리 중 확진이 발생했을때는 집안에 있는 쓰레기를 모아 보건소 담당자가 별도로 가져가 소각이 진행됩니다.
대략 이런식으로 진행이 되는데 사실 여기서 의문인 점은 일반 아파트의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담을만한 봉투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저는 일반 비닐봉투를 사용했는데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은 별도로 없는거 같더라구요.
이걸로 칙칙 뿌려주면 되긴 하지만 아직 쓰레기봉투가 다 차지 않아 지금까지 이걸 써본적은 없기 때문에 PASS~
자가격리 중(후) 쓰레기(음식물쓰레기) 봉투 폐기물 처리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간단하게 경험과 공식적인 방법을 토대로 알아보았습니다. 크게 어려운 방법은 아니지만 혹시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싶어 한번 적어봅니다.
'건강 및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코로나 무료검사 받으러 장안구 보건소 다녀온 이야기 (0) | 2020.12.18 |
---|---|
코로나 양성(확진) 및 대기 후 이천 국방어학원 생활치료센터 입소 후기(노트북 등) (1) | 2020.12.11 |
코로나 음성이었다가 자가격리 중 양성(확진) 판정 받고 병원 못가다 (0) | 2020.12.09 |
수원시 코로나 자가격리 대상자 긴급 구호물품 도착하다 (0) | 2020.12.07 |
코로나 밀접접촉자 분류 후 보건소 검사한 뒤 자가격리하다(가족 기준 음성) (0) | 2020.12.02 |